본문 바로가기
잘 버는 인생/ㄴ 2차전지

2차 전지 동박 관련 주식 종목 정리 및 주가 흐름 분석

by 잘벌잘먹잘놀 2023. 3. 22.
반응형

2차전지-동박-관련-주식종목-정리
2차전지-동박-관련-주식종목-정리


2차 전지 소재 중 동박 관련 주식을 정리해 보고 주가 흐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최근 2차 전지 소재, 장비 관련 주식들 주가가 돌아가면서 상승하고 있다. 오늘은 그중 동박이 무엇인지, 관련 주식은 어떤 종목이 있는지 살펴본다.

동박이란?

동박은 황산구리용액을 전기 분해 과정을 거쳐서 만드는 두께 10㎛(1㎛=100만 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박을 의미한다. 동박은 2차 전지 음극기재에 사용되는데, 배터리에서 음극을 모으는 지지대라고 할 수 있다. 음극소재를 단단하게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도 하고,  전극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체 역할도 수행한다. 참고로 양극을 모으는 지지대로는 알루미늄박을 사용하고 있다. 음극재(음극활물질+도전대+바인더)를 전지박인 동박 위에 펴 발라서 생산하는 것이다. 동박은 2차 전지의 핵심 소재이다. 전지용 동박은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노트북 PC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 고용량화 추세로 전기차 용도 배터리에 사용되는 동박필름의 두께가 얇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막이 얇을수록 배터리에 더 많은 리튬 이온을 채울 수 있어서 동박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좋다. 구리를 6 마이크로미터(㎛) 두께까지 펴려면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국내 동박 제조업체는 SKC, 일진머티리얼즈 등만 있다.

동박 관련 주식 종목 정리

SKC

SKC는 리튬이온 2차 전지 소재인 전지박 등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한다. 즉, 2차 전지 소재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다. 폴리우레탄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제품 등도 생산 및 판매하는데, 화학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SKC가 동박 관련 주식 종목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SKC의 100% 투자사인 SK넥실리스가 2019년 글로벌에서 가장 얇은 4㎛두께의 초극박 동박을 양산한 실적이 있기 때문이다. SKC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SK넥실리스는 동박을 '가장 길고 폭이 넓으며 얇게' 만든 것을 인정받아서 2020년는 KRI한국기록원 최고 기록 인증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2019년 6월 11일부터 14일까지 지 기간 동안에 머리카락 30분의 1 두께인 4.5㎛, 폭 1.33m의 동박을 56.5㎞ 길이로 만든 실적이 있음) SK넥실리스는 인터배터리 2023 행사에도 참여해서 동박 실물을 전시했다. (5㎛(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동박 실물을 전시) 또한, SK넥실리스는 3월 17일 2024년부터 5년간 스웨덴 노스볼트에 SK넥실리스 폴란드 스탈로바 볼라 공장에서 생산하는 2차 전지용 동박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지했다. 규모는 최대 1조 4,000억 원 규모이다.

일진머티리얼즈

일진머티리얼즈는 인쇄회로기판(PCB)용 전해동박(ACF, UCF), 에폭시용 동박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특히, 일진머티리얼즈는 국내에서 동박을 생산하는 업체 중 하나인데, 스마트폰 등 IT 전자제품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일진머티리얼즈는 PCB(인쇄회로기판)용 동박(Elecfoil)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 데 성공한 동박 제조 전문 기업이다. 작년 3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연결기준 주요 매출 중 소재부문이 87%를 구성하는데, 소재 품목에는 동박(Elecfoil) 등이 있다. 3월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최근 일진머티리얼즈 인수를 완료했고, 이에 따라 일진머티리얼즈의 새로운 사명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된다. 

솔루스첨단소재

솔루스첨단소재 기업은 동박, OLED, 바이오 및 화장품 사업 등을 운영 중이며, 2014년에는 전지박(동박) 원천 기술을 보유한 룩셈부르크 소재 동박업체 서킷포일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동박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에는 헝가리 공장을 증설했고, 북미 시장에도 진출하여 동박 사업을 계속 성장시키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헝가리, 룩셈부르크 등에 해외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하반기에는 헝가리에 제3공장 양산을 추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업계에 따르면 작년 매출 4612억 원, 영업손실 452억 원을 기록했는데, 2021년 대비 매출은 늘었지만 적자로 전환하였다. 적자 전환 이유는 유럽 쪽 전력비가 급등하여 유럽 소재 생산법인의 이익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해 유럽 쪽 전력 및 연료비의 우상향 기세가 꺾였기 때문에 전기요금에 따른 리스크는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주가 흐름 분석

2차 전지 관련된 주식 종목들 중에서 SKC, 일진머티리얼즈, 솔루스첨단소재는 시총이 작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최근 2차 전지 업종의 주가 흐름이 순환매 장세를 보인다. 최근에는 양극재 알루미늄박 관련 업체(예를 들어 조일알미늄), 전구체 업체(예를 들어 에코앤드림)의 주가가 상승세에 있다. 따라서 그다음 주가 흐름으로는 동박 관련 주식인 SKC, 일진머리티얼즈, 솔루스첨단소재도 주가 상승 흐름을 탈 가능성이 높다. 최근 세 종목들은 2월 말~3월 초 높은 주가를 형성하다가 주가가 하락 후 조정 국면에 있다. 참고를 위해 아래 사진에 SKC 기업의 3개월 주가 흐름 차트를 첨부하였다. 개인적으로 2차 전지 관련 주식들의 주가 흐름을 볼 때 현재 동박 관련 주식들이 매수하기에 이점이 있어 보인다. 

 

SKC-3개월-주가흐름

반응형

댓글